라벨이 금융 상식인 게시물 표시

디스플레이션이란? 물가 상승률은 낮은데 왜 살기 힘들까?

요즘처럼 물가 이야기가 자주 등장하는 시대, 우리는 다양한 경제 용어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특히 혼동되기 쉬운 용어가 바로 디스플레이션(Disinflation) 입니다. 언뜻 보면 디플레이션이나 인플레이션과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 의미가 완전히 다릅니다. 디스플레이션의 정의 디스플레이션(Disinflation) 은 물가가 상승하긴 하지만 그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즉, 여전히 물가는 오르고 있지만, 예전보다 덜 오르는 상태죠. 인플레이션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이는 물가 상승률이 둔화 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란? 글 보기>>> 예를 들어,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이 4%에서 2%로 낮아졌다면, 이건 디스플레이션 상태입니다.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deflation) 과는 전혀 다릅니다. 디플레이션이란? 글 보기>>> 디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과의 차이점 1. 인플레이션(Inflation) 일반적인 경제 용어로 많이 알려진 인플레이션은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경제가 과열되어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때 발생하며, 자산 가격 상승, 임금 상승 등으로 이어집니다. 2. 디플레이션(Deflation)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전반적으로 하락 하는 상태입니다. 이는 수요 부족, 경기 침체, 소비 위축 등이 원인이며,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매출 감소와 실업률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디스플레이션(Disinflation) 디스플레이션은 위 두 개념의 중간 성격을 가집니다. 물가가 상승 중이지만, 상승률이 감소 하는 것입니다. 즉, '더 이상 과열은 아니지만, 경기 침체도 아닌' 미묘한 균형 상태로 해석됩니다. 디스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 중앙은행의 긴축 정책 - 금리를 인상하면 소비와 투자가 줄어 물가 상승 속도가 둔화됩니다.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 - 유가, 곡물, 금속 등 원자재 가격 하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