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정책 vs 재정정책 : 경제 초보도 이해하는 진짜 이야기
통화정책 vs 재정정책 : 경제 초보도 이해하는 진짜 이야기 “금리를 인상했다”, “정부가 추경을 편성했다.” 뉴스에서 자주 듣는 말이지만, ‘도대체 누가 무엇을 어떻게 바꾸는 걸까?’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경제 초보자도 단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차이 를 알려드릴게요. 하나의 나라, 두 명의 경제 조종사 한 나라를 거대한 비행기에 비유해 볼게요. 이 비행기를 조종하는 조종사는 두 명입니다. 한 명은 ‘한국은행’ , 또 한 명은 ‘정부’ 입니다. 두 조종사는 같은 목적지를 향해 나아가지만 조종 방법이 다르죠. 바로 ‘통화정책’ 과 ‘재정정책’ 이라는 서로 다른 조종 장치를 쓰고 있기 때문입니다. 통화정책: 금리를 통해 속도를 조절하는 조종사 통화정책은 한국은행 이 담당합니다. 그들이 사용하는 조종 장치는 바로 ‘금리’입니다. 경기 과열 시에는 금리를 올려서 속도를 줄이고, 경기가 침체되면 금리를 내려서 속도를 높입니다. 이게 바로 ‘기준금리 조정’ 입니다. 예를 들어, 커피 가격이 너무 올라버렸다고 가정해 봅시다. 한국은행은 금리를 인상해서 대출을 어렵게 만들고, 소비를 줄이게 해서 물가를 안정시키려 합니다. 이것이 ‘물가 안정’ 이라는 통화정책의 핵심 목표죠. 재정정책: 돈을 직접 푸는 엔진 정비사 반면 재정정책 은 정부가 맡습니다. 조종보다는 비행기의 엔진 자체를 손보는 역할 이죠. 즉, 정부는 세금을 거두고, 그 돈을 필요할 때 직접 사용 합니다. 예산을 늘리거나 줄이고, 복지, 인프라 투자, 고용 확대 등으로 경기를 부양하거나 조절합니다. 코로나19 때 정부가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것이 바로 전형적인 재정정책입니다. 사람들에게 직접 돈을 주고 소비를 촉진시켜 침체된 경기를 살리려 한 것이죠. 통화정책 vs 재정정책: 목적은 같지만 접근은 다르다 통화정책 : 금리, 유동성 조절 중심, 한국은행의 독립적 결정 재정정책 : 세금, 정부 지출 중심, 국회와 정부의 결정 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