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역사로 보는 경제인 게시물 표시

금리와 기준금리의 차이 : 역사 속 돈의 흐름을 따라가다

금리와 기준금리의 차이 : 역사 속 돈의 흐름을 따라가다 우리가 은행에 예금을 하거나 대출을 받을 때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단어, 금리 . 그리고 뉴스에서 자주 듣게 되는 기준금리 . 둘은 비슷한 개념 같지만, 사실 알고 보면 엄연히 다른 뜻을 갖고 있습니다. 금리란? — 돈의 ‘사용료’ 금리는 한 마디로 돈을 빌리는 데 드는 비용 입니다. 누군가에게 돈을 빌릴 때 그에 대한 보상으로 일정 비율을 더 얹어 돌려주는 것이죠. 즉, 금리는 '돈의 가격'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1년간 빌리고 5만 원을 이자로 준다면, 이때의 금리는 5%. 이것은 개인 간 거래든 은행과 고객 간 거래든, 혹은 국가 간 거래에서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기준금리란? — 금리의 기준을 정하는 중앙은행의 도구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게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금리 입니다. 이것이 모든 금융기관 금리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기준금리’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5%로 설정하면, 시중은행은 대출 금리를 그보다 높게, 예금 금리는 그보다 낮게 설정하게 됩니다. 즉, 기준금리는 경제 전체의 금리 수준을 결정짓는 핵심 축인 셈이죠. 한국은행 기준금리 확인하기>>> 역사로 보는 기준금리의 힘 : 대공황과 2008 금융위기 1929년 대공황과 미국의 기준금리 1929년, 미국의 대공황은 수많은 사람을 실업자로 만들었습니다. 당시 연방준비제도(Fed)는 금리를 너무 늦게 낮췄고,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면서 경제는 악순환에 빠졌습니다. 이후 Fed는 ‘기준금리 조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기준금리 0% 시대 2008년, 미국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금융 시스템 전체가 흔들렸습니다. 이에 미국은 기준금리를 ‘제로(0%)’에 가깝게 낮추어 은행에 돈을 풀었습니다. 이는 소비를 자극하고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