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한국경제인 게시물 표시

실업률이란?

실업률이란? 한국 경제의 온도를 재는 지표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실업률" 입니다. 많은 사람이 이 단어를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의미와 중요성을 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업률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실업률이 우리 경제에 어떤 신호를 보내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실업률이란 무엇인가? 실업률(Unemployment Rate)은 경제활동인구 중 일자리를 갖지 못한 사람의 비율 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지만, 일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실업률 공식 실업률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업률 (%) = (실업자 수 ÷ 경제활동인구 수) × 100 여기서 경제활동인구는 취업자와 실업자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즉, 단순히 '일을 안 하는 사람'이 아니라, 일을 하고 싶지만 못하고 있는 사람 을 포함해야 진짜 실업률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실업률의 종류 실업률은 한 가지로만 측정되지 않습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계산된 실업률이 존재하며, 이들은 각각 경제의 다른 측면을 반영합니다. 1. 명목 실업률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치로, 통계청이 발표하는 공식 실업률 입니다. 구직활동을 하는 사람만 포함되기 때문에 실제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실업률 학인하기>>> 2. 체감 실업률 (고용보조지표3) 취업준비생, 단기 아르바이트 근로자 등을 포함한 사람들이 체감하는 실업 상태 를 반영합니다. 특히 청년층에서는 명목 실업률보다 이 수치가 훨씬 높게 나타납니다. 3. 청년 실업률 15~29세 청년층을 대상으로 측정한 실업률입니다. 대한민국의 경우 청년 실업은 구조적인 문제로 이어지고 있어, 사회적 관심이 매우 큽니다. 청년 실업률 확인하기>>> 한국의 실업률 추이와 특징 한국의 명목 실업률은 보통 3~4%대 를 유지하고 있지만, 체...

플라자협정 (플라자합의)이란?

플라자협정이란? 역사와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 총정리 1985년 세계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킨 플라자협정(Plaza Accord) 은 미국과 주요 선진국들이 환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결한 역사적인 다자간 합의입니다. 이 협정은 단순한 환율 조정을 넘어서 각국 경제구조와 무역질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한국 경제에도 다양한 파급효과를 가져왔습니다. 플라자협정이란? 플라자협정은 1985년 9월 22일 미국 뉴욕에 있는 플라자 호텔에서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등 5개 주요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모여 체결한 국제 금융 협정입니다. 당시 미국은 심각한 무역 적자와 강한 달러화 때문에 제조업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었고, 달러화 강세가 수출을 어렵게 만들고 있었습니다. 이에 반해 일본과 독일은 상대적으로 통화가 약세였고, 수출 호조로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달러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추고 엔화와 마르크 등 주요국 통화를 절상시키는 방향으로 환율을 조정하자 는 취지로 협정이 체결되었습니다. 플라자협정 체결 배경과 역사 1. 1980년대 초 미국 경제 상황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까지 미국은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저성장)과 높은 무역 적자에 직면했습니다. 특히 1980~84년 사이 달러화 가치는 40% 이상 상승하며 미국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졌습니다. 2. 글로벌 무역 불균형 심화 미국의 대일본 무역 적자는 빠르게 커졌고, 일본과 독일 등은 상대적으로 자국 통화를 약세로 유지하면서 수출 주도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주요국에 환율 조정을 강하게 요구했고, 결국 플라자호텔에서 다자간 합의를 이끌어냈습니다. 3. 플라자협정 체결과 이후 환율 변동 플라자협정 이후 달러화 가치는 급격히 하락했고, 엔화와 독일 마르크 등 주요국 통화는 급격히 절상됐습니다. 예를 들어, 1985년 약 1달러에 240엔이던 엔화는 1987년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