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소비자물가지수인 게시물 표시

CPI(소비자물가지수)?

이미지
CPI란 무엇인가요? 뉴스에서 "CPI가 상승했다", "물가가 올랐다"는 말을 자주 듣지만, 정확한 의미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CPI는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의 약자로, 일반 소비자가 자주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경제 지표 입니다. 쉽게 말하면, "생활비가 얼마나 올랐는가?" 를 숫자로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장을 볼 때 물가가 비싸졌다고 느낀다면, 실제로 CPI도 올라갔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CPI는 어떻게 계산될까요? CPI는 통계청에서 매월 조사하는 수백 개 품목의 가격 변화를 종합하여 계산됩니다. 여기에는 식료품, 의류, 교육, 의료, 교통비 등 다양한 항목이 포함됩니다. 각 항목에 가중치를 두어 , 실제 소비 패턴을 반영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쌀이나 라면처럼 자주 사는 품목은 계산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반대로, 1년에 한두 번 살까 말까 한 물건은 가중치가 낮습니다. CPI가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CPI는 단순히 물가를 보여주는 것 이상으로 경제정책과 투자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 금리 결정 : 한국은행은 CPI 상승률을 보고 기준금리를 조정합니다. 물가가 과도하게 오르면 금리를 올려 인플레이션을 억제합니다. 임금 협상 : 기업과 노동자 간의 연봉 협상에서 CPI가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주식·채권시장 : 투자자들은 CPI를 통해 물가 흐름과 금리 방향을 예측하여 자산을 조정합니다. 금리와 기준금리의 차이 글 보기>>> CPI 상승은 무조건 나쁜 건가요? CPI가 오른다는 건 물가가 상승한다는 뜻입니다. 이것이 반드시 나쁜 일은 아닙니다. 적당한 물가 상승은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는 신호 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물가가 지나치게 오르면 실질소득이 줄어들고, 서민의 생활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인플레이션 vs 디플레이션 : 일상생활에서 꼭 알아야 할 경제 상식

인플레이션 vs 디플레이션 : 일상생활에서 꼭 알아야 할 경제 상식 ‘물가가 오른다’는 뉴스,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말, ‘경기가 침체된다’는 기사들… 모두가 한 번쯤은 들어봤지만, 막상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이해하기 어려운 경제 용어들입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핵심 중의 핵심! 바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인플레이션(Inflation) 은 쉽게 말해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물건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르면, 결국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곧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 을 의미하죠. 일상 속 인플레이션 예시 작년에 5,000원이었던 삼겹살 1인분이 올해는 6,500원이 됐다. 편의점 도시락 가격이 4,000원에서 5,000원으로 인상됐다. 카페 아메리카노 가격이 3,800원에서 4,500원으로 올랐다. 이처럼 우리가 평소에 느끼는 ‘살 때마다 돈이 더 많이 드는 느낌’이 바로 인플레이션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까?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요 증가: 사람들이 소비를 많이 하면 물건이 부족해지고, 가격이 오릅니다. 생산비용 상승: 원재료, 인건비가 오르면 기업은 가격을 인상하게 됩니다. 통화량 증가: 정부나 중앙은행이 돈을 많이 풀면,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오릅니다. 인플레이션이란? 역사가 알려주는 돈의 진짜 가치 글 보기>>> 디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디플레이션(Deflation) 은 인플레이션과 반대로 물가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을 말합니다. 돈의 가치가 오르고, 같은 돈으로 더 많은 것을 살 수 있게 됩니다. 일상 속 디플레이션 예시 전에는 1,000원이었던 음료수가 900원으로 가격이 내렸다. 자동차 가격이 3,000만 원에서 2,800만 원으로 떨어졌다. 부동산 매매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