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금리인 게시물 표시

예·적금만으로 괜찮을까? 금리 시대에 알아야 할 경제 상식

예·적금만으로 괜찮을까? 금리 시대에 알아야 할 경제 상식 “나는 돈을 쓸 줄만 알았지, 모으는 법은 몰랐습니다.” 이 말은 28살의 나에게 했던 말입니다. 첫 직장을 얻고 한 달에 250만원을 벌기 시작했을 때, 통장 잔고는 늘 바닥에 가까웠죠. 부모님은 늘 말했습니다. “예금이나 적금이라도 들어야지.” 하지만, 예·적금만으로 되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처음에는 시키는 대로 했습니다. 매달 50만 원씩 1년짜리 적금을 들었고, 이자를 계산해보니 1년 뒤 겨우 몇 만원이 붙더군요. ‘내가 이걸 하려고 월급을 쪼개며 아꼈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고등학교 친구가 말했습니다. “너는 아직도 예·적금만 해? 나 채권 ETF 조금 넣어놨더니 이자보다 훨씬 낫던데?” 그 말이 내 인생을 바꿨습니다. 경제를 모르면, 금리만 믿게 된다 2024년과 2025년은 고금리 시대였습니다. 시중은행의 예·적금 금리가 3~4%를 웃도는 상황에서 많은 청년들은 ‘이 정도면 괜찮은 수익’이라며 안심했습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실질금리입니다.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이 3~4%인 상황에서 3.5% 적금은 사실상 '본전'입니다. 오히려 손해죠. 금리 시대에 진짜 알아야 할 경제 상식 실질금리 : 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값으로, 진짜 내 자산이 얼마나 늘었는지를 알려줍니다. 복리의 마법 : 단순히 이자를 받는 것보다, 자산이 불어나며 다시 이자를 낳는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분산 투자 : 예·적금만이 아니라 채권, ETF, CMA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청년이여, 금융 문맹에서 깨어나라 ‘투자는 위험하고, 예금은 안전하다’는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무조건 투자를 하라는 얘기는 아닙니다. 하지만 예·적금만으로는 자산을 지키기조차 어렵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저는 매달 적금 대신 CMA와 채권형 ETF에 소액을 나눠 투자하고 있습니다. 리스...

경제 변화의 신호,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이란?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이란? 초보자도 이해하는 경제 변화의 신호 최근 뉴스에서 자주 보이는 단어, 바로 ‘인플레이션 피크아웃’ 입니다. 물가와 금리, 주식시장까지 모두 영향을 받는 이 개념은 사실 우리의 일상생활에도 깊숙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의 의미와 실생활 적용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이란? 인플레이션(Inflation) 은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우리가 마트에서 장을 볼 때, 커피를 마실 때, 기름을 넣을 때 느끼는 그 가격 상승이 바로 인플레이션입니다. 그렇다면 피크아웃(Peak-Out) 은 무엇일까요? 'Peak'는 최고점을, 'Out'은 벗어남을 의미합니다. 즉,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이란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고 하락하기 시작하는 현상 을 뜻합니다. 인플레이션이란? 글 보기>>> 예를 들어볼까요? 작년에 CPI(소비자물가지수)가 9%까지 올랐다가 최근 6%로 내려왔다면, "인플레이션이 피크아웃됐다"고 말합니다. 물가 상승은 계속되고 있지만, 그 속도가 둔화된 것이죠. 왜 중요한가? 우리 삶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은 단순히 경제 용어가 아닙니다. 우리의 소비, 투자, 대출, 저축 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다음은 그 주요 영향들입니다. 1. 대출이자와 금리 부담 감소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다면, 중앙은행은 이를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립니다. 반대로 인플레이션이 피크아웃 되면 금리 인상 속도가 줄거나 멈출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이자가 더 이상 오르지 않거나 줄어들 수 있습니다 . 2.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신호 인플레이션이 안정세로 접어들면 투자자들은 더 이상 금리 인상 리스크에 불안해하지 않게 됩니다. 이는 주식시장 회복의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CPI가 하락세를 보일 때 S&P500 ...

금리와 스태그플레이션의 관계

금리와 스태그플레이션의 관계 : 내 월급과 소비에 미치는 숨겨진 진실 (2025 최신 해설)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금리’ 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 익숙하면서도 제대로 설명하기는 어려운 용어들이죠. 그런데 이 두 개념은 단순한 경제 용어를 넘어서 우리의 생활비, 월급, 대출이자 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금리와 스태그플레이션이 무엇인지, 왜 함께 언급되는지, 그리고 우리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쉽고 현실적인 예시 와 함께 알려드립니다. 금리란 무엇인가요? 금리의 기본 개념 금리는 돈의 ‘가격’입니다. 우리가 은행에 돈을 맡기면 받는 이자, 대출을 받으면 갚아야 하는 이자 모두 금리와 직결됩니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결정하며, 이 금리를 기준으로 시장 전체의 이자율이 움직이죠. 금리가 올라가면 생기는 변화 대출이자 부담 증가 →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상환액 증가 기업 투자 위축 → 채용 감소, 구조조정 위험 증가 소비 심리 둔화 → 내수시장 침체 쉽게 말하면, 금리가 오르면 사람들은 덜 쓰고, 더 아끼게 되는 겁니다. 기준금리와 예금금리의 관계 글 보기>>>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침체 + 물가상승’이라는 이상한 조합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Stagnation) 와 인플레이션(Inflation) 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나쁘면 물가도 내려가야 하는데, 스태그플레이션에서는 소득은 줄고, 물가는 오릅니다. 왜 무서운가요? 이 상황에선 중앙은행이 금리를 낮춰 경기를 살리기도 어렵고 , 금리를 올려 물가를 잡기도 어렵습니다. 어느 방향으로든 움직여도 부작용이 크기 때문에 정책 결정도 매우 복잡하죠. 인플레이션이란? 글 보기>>> 금리와 스태그플레이션의 관계 물가가 오르는데도 금리를 못 내리는 이유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경기를 살리기 위해 금...

통화정책 vs 재정정책 : 경제 초보도 이해하는 진짜 이야기

통화정책 vs 재정정책 : 경제 초보도 이해하는 진짜 이야기 “금리를 인상했다”, “정부가 추경을 편성했다.” 뉴스에서 자주 듣는 말이지만, ‘도대체 누가 무엇을 어떻게 바꾸는 걸까?’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경제 초보자도 단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차이 를 알려드릴게요. 하나의 나라, 두 명의 경제 조종사 한 나라를 거대한 비행기에 비유해 볼게요. 이 비행기를 조종하는 조종사는 두 명입니다. 한 명은 ‘한국은행’ , 또 한 명은 ‘정부’ 입니다. 두 조종사는 같은 목적지를 향해 나아가지만 조종 방법이 다르죠. 바로 ‘통화정책’ 과 ‘재정정책’ 이라는 서로 다른 조종 장치를 쓰고 있기 때문입니다. 통화정책: 금리를 통해 속도를 조절하는 조종사 통화정책은 한국은행 이 담당합니다. 그들이 사용하는 조종 장치는 바로 ‘금리’입니다. 경기 과열 시에는 금리를 올려서 속도를 줄이고, 경기가 침체되면 금리를 내려서 속도를 높입니다. 이게 바로 ‘기준금리 조정’ 입니다. 예를 들어, 커피 가격이 너무 올라버렸다고 가정해 봅시다. 한국은행은 금리를 인상해서 대출을 어렵게 만들고, 소비를 줄이게 해서 물가를 안정시키려 합니다. 이것이 ‘물가 안정’ 이라는 통화정책의 핵심 목표죠. 재정정책: 돈을 직접 푸는 엔진 정비사 반면 재정정책 은 정부가 맡습니다. 조종보다는 비행기의 엔진 자체를 손보는 역할 이죠. 즉, 정부는 세금을 거두고, 그 돈을 필요할 때 직접 사용 합니다. 예산을 늘리거나 줄이고, 복지, 인프라 투자, 고용 확대 등으로 경기를 부양하거나 조절합니다. 코로나19 때 정부가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것이 바로 전형적인 재정정책입니다. 사람들에게 직접 돈을 주고 소비를 촉진시켜 침체된 경기를 살리려 한 것이죠. 통화정책 vs 재정정책: 목적은 같지만 접근은 다르다 통화정책 : 금리, 유동성 조절 중심, 한국은행의 독립적 결정 재정정책 : 세금, 정부 지출 중심, 국회와 정부의 결정 둘 ...

금리와 기준금리의 차이 : 역사 속 돈의 흐름을 따라가다

금리와 기준금리의 차이 : 역사 속 돈의 흐름을 따라가다 우리가 은행에 예금을 하거나 대출을 받을 때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단어, 금리 . 그리고 뉴스에서 자주 듣게 되는 기준금리 . 둘은 비슷한 개념 같지만, 사실 알고 보면 엄연히 다른 뜻을 갖고 있습니다. 금리란? — 돈의 ‘사용료’ 금리는 한 마디로 돈을 빌리는 데 드는 비용 입니다. 누군가에게 돈을 빌릴 때 그에 대한 보상으로 일정 비율을 더 얹어 돌려주는 것이죠. 즉, 금리는 '돈의 가격'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1년간 빌리고 5만 원을 이자로 준다면, 이때의 금리는 5%. 이것은 개인 간 거래든 은행과 고객 간 거래든, 혹은 국가 간 거래에서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기준금리란? — 금리의 기준을 정하는 중앙은행의 도구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게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금리 입니다. 이것이 모든 금융기관 금리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기준금리’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5%로 설정하면, 시중은행은 대출 금리를 그보다 높게, 예금 금리는 그보다 낮게 설정하게 됩니다. 즉, 기준금리는 경제 전체의 금리 수준을 결정짓는 핵심 축인 셈이죠. 한국은행 기준금리 확인하기>>> 역사로 보는 기준금리의 힘 : 대공황과 2008 금융위기 1929년 대공황과 미국의 기준금리 1929년, 미국의 대공황은 수많은 사람을 실업자로 만들었습니다. 당시 연방준비제도(Fed)는 금리를 너무 늦게 낮췄고,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면서 경제는 악순환에 빠졌습니다. 이후 Fed는 ‘기준금리 조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기준금리 0% 시대 2008년, 미국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금융 시스템 전체가 흔들렸습니다. 이에 미국은 기준금리를 ‘제로(0%)’에 가깝게 낮추어 은행에 돈을 풀었습니다. 이는 소비를 자극하고 기...